맨위로가기

칼데라 오픈리눅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데라 오픈리눅스는 1997년부터 2002년까지 판매된 상업용 리눅스 배포판이다. 1994년 브라이언 웨인 스팍스와 랜섬 H. 러브에 의해 설립된 칼데라 주식회사에서 개발되었으며, 초기에는 LST 파워 리눅스를 기반으로 했다. 칼데라 오픈리눅스는 오픈리눅스 라이트, 베이스, 스탠다드 버전으로 출시되었으며, 윈도우 호환 레이어, 상용 소프트웨어를 포함하여 기업 시장을 공략했다. 칼데라 인터내셔널로 사명을 변경한 후, 유나이티드 리눅스 컨소시엄에 참여했으나, 2002년 더 SCO 그룹으로 이름이 변경되면서 제품명도 변경되었고, 이후 SCO-리눅스 분쟁으로 인해 판매가 중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눅스 배포판 -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구글이 개발한 리눅스 커널 기반의 모바일 운영체제인 안드로이드는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다양한 기기에서 활용되며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지만, 개인정보 보호 문제와 독점적 지위 남용 논란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리눅스 배포판 - MX 리눅스
    MX 리눅스는 MEPIS 커뮤니티와 antiX 개발자들이 협력하여 개발한 데비안 기반의 리눅스 배포판으로, 사용자 중심의 MX 도구 모음과 시스템 백업 및 복구 기능인 MX 스냅샷을 제공하며 Xfce, KDE Plasma, Fluxbox 등 다양한 데스크톱 환경과 최신 하드웨어 지원 AHS 버전을 제공한다.
칼데라 오픈리눅스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개발사칼데라
칼데라 시스템즈
칼데라 인터내셔널
계열리눅스
출시1997년
소스 모델혼합
작동 상태단종
최신 버전3.1.1
최신 출시일2002년
커널 종류모놀리식 커널
라이선스혼합

2. 역사적 배경

1994년, 레이 노르다 최고 경영자의 지휘 아래 노벨데스크톱 메타포를 인터넷 연결과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노벨 코르세어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그러나 노르다가 노벨을 떠나고 새로운 경영진이 들어서면서 이 프로젝트에서 리눅스의 역할은 중단되었다.[1]

칼데라 주식회사(Caldera, Inc.)는 1994년 브라이언 웨인 스팍스와 랜섬 H. 러브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노르다의 캐노피 그룹(Canopy Group)으로부터 초기 자금을 지원받았다. 칼데라는 최초로 상용 리눅스 배포판을 출시한 회사 중 하나였다.[2]

2. 1. 칼데라 주식회사 (Caldera, Inc.) 설립 (1994-1998)

레이 노르다 최고 경영자의 지휘 아래, 노벨 코르세어는 노벨의 첨단 기술 그룹이 운영하는 프로젝트로, 데스크톱 메타포를 인터넷 연결과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당시 인터넷은 유닉스 기반 운영 체제가 지배적이었지만, 노벨 그룹은 당시의 유닉스가 하드웨어 요구 사항이 너무 높고, 크기가 너무 크며, 라이선스 비용이 과도하다고 판단했다. 그들은 리눅스가 운영 체제 구성 요소에 대한 최상의 해답을 제공한다고 확신하고, NetWare용 IPX 네트워킹 및 Windows 호환 레이어인 Wine에 대한 기여를 포함하여 이러한 목적을 위한 코드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노르다가 노벨을 떠나고 새로운 경영진 하에서 코르세어 내 리눅스의 역할은 중단되었다.[1]

칼데라 주식회사(Caldera, Inc.)는 1994년 브라이언 웨인 스팍스와 랜섬 H. 러브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노르다의 유타 중심 캐노피 그룹(Canopy Group)으로부터 초기 자금을 지원받았다. 칼데라는 최초로 상용 리눅스 배포판을 출시한 회사 중 하나가 되었다.[2] 이 첫 번째 배포판은 칼데라 네트워크 데스크톱이었으며, 레드햇 상용 리눅스를 기반으로 했다.[3][4] 이는 주로 사무실 데스크톱 및 맞춤형 솔루션 시장을 겨냥한 것으로 보였다.[4]

칼데라 네트워크 데스크톱의 특징 중 하나는 리눅스 설치 및 시스템 관리 (LISA)라는 설치 구성 요소였으며,[4] 이는 독일 기반의 리눅스 지원 팀(Linux Support Team) (LST)과 함께 개발되었다.[5] 리눅스 배포판 측면에서 해당 그룹은 1993년 첫 출시 이후 LST에 의해 유지 관리된 슬랙웨어 파생 배포판인 LST 파워 리눅스를 담당했다.[6] 칼데라 네트워크 데스크톱은 1997년 3월에 판매가 종료되었다.[7]

2. 2. 칼데라 오픈리눅스 출시 (1997-1998)

칼데라(Caldera, Inc.)는 LST 소프트웨어 GmbH(LST Software GmbH)와 협력하여 LST의 LST 파워 리눅스(LST Power Linux) 배포판을 기반으로 칼데라 오픈리눅스(Caldera OpenLinux)를 출시했다.[6] 1997년 5월 리눅스 콩그레스(Linux Kongress)에서 칼데라는 독일 에를랑겐(Erlangen, Germany)에 있는 LST를 인수하여 칼데라 도이칠란트 GmbH(Caldera Deutschland GmbH)를 설립한다고 발표했다.[5][6]

오픈리눅스(OpenLinux)라는 이름은 다른 리눅스 배포판이 개방되지 않은 것처럼 잘못 암시하여 다른 배포판 관련자들에게 종종 문제를 일으켰다.[8] 1997년 3월부터 검토본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9] 리눅스 커널 버전 2를 포함하는 최초의 상업용 배포판이었다.[10]

칼데라는 세 가지 버전의 오픈리눅스(OpenLinux)를 제공했다.[8]

버전설명가격
오픈리눅스 라이트(OpenLinux Lite)무료 다운로드 버전무료
오픈리눅스 베이스(OpenLinux Base)약간의 확장이 포함된 버전99USD
오픈리눅스 스탠다드(OpenLinux Standard)모든 기능을 갖춘 제품299USD



오픈리눅스(OpenLinux)의 초기 버전은 설치를 위해 CD-ROM으로 제공되었지만, 설치되는 IBM PC 호환 시스템의 BIOS 기능에 따라 초기 부팅을 위해 플로피 디스크를 만들어야 하는 경우가 있었다.[7] 이 플로피 디스크는 배포판에서 제공되지 않아 사용자가 직접 제작해야 했다.[9] 칼데라 오픈리눅스(Caldera OpenLinux)는 49USD에 판매되는 PC용 리눅스 설치 CD-ROM 형태로 소매 판매되기도 했다.[11]

오픈리눅스(OpenLinux)는 일반적으로 솔루션 CD라는 별도의 CD-ROM과 함께 제공되었으며, 여기에는 Software AG의 Adabas D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과 같은 상업용 소프트웨어가 포함되었다.[8] 이러한 구성 요소를 사용하려면 라이선스 키를 활성화해야 했다.[9] ''Computerwoche''의 리뷰에서는 초기 칼데라 오픈리눅스(Caldera OpenLinux) 릴리스가 리눅스를 탐색하는 사람들에게 사용하기 쉬운 배포판을 매력적인 가격 대비 성능으로 제공한다고 평가했다.[9]

3. 기술 및 제품

칼데라(Caldera, Inc.)는 LST 소프트웨어 GmbH(LST Software GmbH)의 직원들과 협력하여 LST의 LST 파워 리눅스(LST Power Linux) 배포판을 기반으로 칼데라 오픈리눅스(Caldera OpenLinux)를 개발했다.[6] 1997년 5월 리눅스 콩그레스(Linux Kongress)에서 칼데라, Inc.는 독일 에를랑겐(Erlangen, Germany)에 있는 LST를 인수하여 칼데라 도이칠란트 GmbH(Caldera Deutschland GmbH)를 설립한다고 발표했다.[5][6]

오픈리눅스(OpenLinux)라는 이름은 다른 리눅스 배포판이 공개되지 않은 것처럼 잘못 암시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8] 1997년 3월부터 검토본이 공개되었으며,[9] 리눅스 커널 버전 2를 포함하는 최초의 상업용 배포판 중 하나였다.[10]

칼데라는 오픈리눅스를 세 가지 버전으로 제공했다.[8][9]

제품명가격설명
오픈리눅스 라이트(OpenLinux Lite)무료다운로드 버전
오픈리눅스 베이스(OpenLinux Base)99USD약간의 확장이 포함된 버전
오픈리눅스 스탠다드(OpenLinux Standard)299USD모든 기능을 갖춘 제품



초기 오픈리눅스는 CD-ROM으로 제공되었지만, IBM PC 호환 시스템의 BIOS 기능에 따라 초기 부팅을 위해 플로피 디스크를 만들어야 하는 경우도 있었다.[7] 플로피 디스크는 배포판에서 제공되지 않아 사용자가 직접 제작해야 했다.[9] 이후 49USD에 판매되는 PC용 리눅스 설치 CD-ROM 형태로 소매 판매되기도 했다.[11]

오픈리눅스는 솔루션 CD라는 별도의 CD-ROM과 함께 제공되었으며, 여기에는 Software AG의 Adabas D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과 같은 상업용 소프트웨어가 포함되었다.[8] 이러한 구성 요소를 사용하려면 라이선스 키를 활성화해야 했다.[9] ''Computerwoche''는 초기 칼데라 오픈리눅스가 리눅스를 탐색하는 사람들에게 사용하기 쉬운 배포판을 매력적인 가격 대비 성능으로 제공한다고 평가했다.[9]

3. 1. 칼데라 시스템즈 (Caldera Systems) 시대 (1998-2000)



1998년 9월, 칼데라사(Caldera, Inc.)는 개발, 교육, 서비스 및 지원을 포함하여 앞으로 오픈리눅스를 처리하기 위해 칼데라 시스템즈(Caldera Systems)를 분사했다.[12]

칼데라 시스템즈 배포판은 KDE 데스크톱을 사용했으며,[13] Qt, Wine,[16] 스타오피스(Star Office)의 비상업용 버전도 함께 제공되었다.[38] ISDN 지원은 제품에 번들로 제공되어 독일 시장에서 이점으로 작용했다.[9]

칼데라 시스템즈는 하이엔드 리눅스 제품에 집중했고, 자사의 리눅스 배포판에는 번들 독점 소프트웨어가 풍부했다. 예를 들어, Novell의 완벽한 NetWare 구현을 포함하는 리눅스용 NetWare를 제공했다.[14] 썬 마이크로시스템즈(Sun Microsystems)의 와비를 라이선스 받아 리눅스에서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했다.[15] 코렐(Corel)의 워드퍼펙트(WordPerfect) 리눅스 버전과 애플릭스웨어(Applixware) 생산성 응용 프로그램도 함께 제공했다.[16] 많은 고객이 듀얼 부팅 설정을 사용했기 때문에, 칼데라는 고객이 비파괴적으로 재분할할 수 있도록 파워퀘스트(PowerQuest)의 파티션 매직(PartitionMagic)을 함께 제공했다.[16][18]

이러한 접근 방식은 리눅스 기반 제품의 순수성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칼데라는 "우리는 최고의 오픈 소스 및 상용 패키지를 결합한 제품을 생산했습니다. 우리는 비즈니스를 위한 리눅스를 만들고 있습니다. 우리는 비즈니스 사용자가 쉽게 통합할 수 있도록 상용 패키지를 추가합니다."라고 말했다.[17]

1999년 4월에 출시된 오픈리눅스 2.2는 이전 해의 1.3 릴리스보다, 특히 완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사용하기 쉬운 설치 기능을 갖춘다는 점에서 상당히 개선된 것으로 평가받았다.[18] 설치의 용이성은 리눅스 배포판을 선택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었으며,[19] 칼데라 도이칠란트는 1998년 11월부터 리자드(Lizard)라는 최초의 완전한 그래픽 설치 프로그램을 리눅스용으로 만들었다.[20] 이 설치 프로그램은 몇 년 후에도 여전히 리뷰어들로부터 칭찬을 받았다.[21]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파티션에서도 시작할 수 있었다.[18]

리자드 설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개선 사항으로 인해 기술 출판물인 ''리눅스 저널(Linux Journal)''은 칼데라 오픈리눅스 2.3에 올해의 제품 대상을 수여했다.[22]

3. 2. 칼데라 인터내셔널 (Caldera International) 시대 (2000-2002)

2000년에 칼데라 시스템즈는 산타 크루즈 오퍼레이션의 유닉스 사업 인수를 시작했다. 2001년 3월, 칼데라 시스템즈는 사명을 칼데라 인터내셔널(Caldera International)로 변경한다고 발표했다.[23]

2001년 6월, 칼데라 오픈리눅스 3.1이 출시되었다.[41] 여기에는 리눅스 위에 기능 계층을 이루어 운영 체제 제품에 부가가치를 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칼데라 자체의 볼루션 매니저(Volution Manager)와 볼루션 메시징 서버(Volution Messaging Server)가 포함되었다.[25] 칼데라 오픈리눅스 워크스테이션 버전은 사용자당 라이선스가 필요했다.[41] ''PC 매거진''에 실린 칼데라 오픈리눅스 3.1 리뷰에서는 5점 만점에 3점을 받아, 각각 5점 만점에 4점을 받은 레드햇수세 제품보다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25]

이 제품의 마지막 릴리스는 2002년 1월의 칼데라 오픈리눅스 3.1.1이었다.[42] 오픈리눅스 3.1 및 3.1.1은 SCO 유닉스웨어에서 SCO의 리눅스 커널 퍼스널리티(LKP) 제품의 사용자 공간 기반으로 사용되었다.[24]

4. 시장, 제휴 및 판매

칼데라 오픈리눅스는 전자 상거래 및 보안 서버 구성에 특화된 패키지를 제공했다.[25] 또한 비즈니스 연결 도메인도 목표로 했다.[8] 당시 ''PC 매거진''은 "리눅스 세계에서 특이하게도 칼데라는 기업 환경에서 강력한 소유 비용 논리를 펼치고 있다"면서, "전자 상거래 솔루션을 포함한 탁월한 지원과 광범위한 제품군은 칼데라 오픈리눅스 서버 3.1을 매우 매력적인 선택으로 만든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배포 간의 칼데라의 명확한 차별성은 비즈니스 커뮤니티에 어필하려는 회사의 노력을 강조한다"고 평가했다.[25]

칼데라 오픈리눅스는 레드햇 리눅스, 터보리눅스, 수세 리눅스와 함께 4대 주요 상용 리눅스 배포판 중 하나였다.[8] 이들은 HP 및 IBM과 같은 하드웨어 벤더의 지원을 받았으며, 특히 레드햇이 이러한 하드웨어 지원 발표의 주요 수혜자였다.[8] 전체적으로 레드햇은 컴퓨터 업계에서 가장 광범위한 수용 기반을 가지고 있었고, 수세는 유럽에서 강세를 보였다.[25]

2002년, 닷컴 버블 붕괴 이후, 칼데라 인터내셔널의 리눅스 사업부는 막대한 손실을 입었고, 수입의 4배를 지출하고 있었다.[26] 당시 리눅스 배포 회사 중에서는 레드햇만이 유일하게 괜찮은 상황이었다.[27] 칼데라 인터내셔널은 사업의 유닉스 부문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리셀러가 판매할 인센티브가 가장 큰 제품이라는 점에서 더욱 불리했다.[28]

5. 종말

유나이티드 리눅스는 기업용으로 공통 기반 배포판을 만들고 엔지니어링 노력을 중복하지 않아 레드햇의 효과적인 경쟁자를 형성하려는 리눅스 회사 컨소시엄의 시도였다.[33] 유나이티드 리눅스의 창립 멤버는 SuSE, 터보리눅스, 코넥티바, 칼데라 인터내셔널이었다.[33] 이 컨소시엄은 2002년 5월에 발표되었다.[29] 그러나 유나이티드 리눅스 배포판은 칼데라 오픈리눅스보다는 주로 SUSE 엔터프라이즈 리눅스를 기반으로 할 예정이었다.[30] 따라서 칼데라 제품명은 "유나이티드 리눅스 기반 칼데라 오픈리눅스"로 변경되었다.[31] 이것은 실질적으로 LST-/칼데라 기반 오픈리눅스 기술 자체의 종말을 의미했고,[6] 에를랑겐에 있는 칼데라 도이칠란트 GmbH 사무실은 폐쇄되었다.[32]

결과적으로 유나이티드 리눅스는 오래 지속되지 못했다. 2002년 6월, 칼데라 인터내셔널은 경영진이 변경되어 다를 맥브라이드가 랜섬 러브로부터 CEO 자리를 물려받았다.[33] 칼데라 인터내셔널은 곧 더 SCO 그룹으로 이름을 변경했다.[34] 칼데라 오픈리눅스라는 제품명은 "유나이티드 리눅스 기반 SCO 리눅스"가 되었다.[35] 2003년 5월, SCO 그룹은 자사의 유닉스 지적 재산이 불법적이고 보상 없이 리눅스에 통합되었다고 믿고 선언과 소송을 시작했고, 이는 SCO-리눅스 분쟁의 시작을 알렸으며, 자체 리눅스 제품 판매를 중단했다.[36] 그 결과 유나이티드 리눅스 자체의 노력도 붕괴되었다.[37]

6. 주요 릴리스

릴리스날짜리눅스 커널
칼데라 오픈리눅스 Lite/Base/Standard(/Deluxe) 1.01997년2.0.25 [7]
칼데라 오픈리눅스 Lite/Base/Standard 1.11997년 9월2.0.29 [39]
칼데라 오픈리눅스 Lite/Base/Standard 1.21998년 4월 17일 
칼데라 시스템즈 오픈리눅스 Lite/Base 1.31998년 9월 28일2.0.35 [40]
칼데라 시스템즈 오픈리눅스 1.4??
칼데라 시스템즈 오픈리눅스 2.21999년 4월 19일2.2.xx
칼데라 시스템즈 오픈리눅스 eDesktop/eServer 2.31999년 9월2.2.10 [16]
칼데라 시스템즈 오픈리눅스 eServer 2.3.1  
칼데라 시스템즈 오픈리눅스 eDesktop/eBuilder 2.4  
칼데라 시스템즈 오픈리눅스 eBuilder 3.0  
칼데라 인터내셔널 오픈리눅스 Workstation/Server 3.12001년 6월2.4.2 [41]
칼데라 인터내셔널 오픈리눅스 Workstation/Server 3.1.12002년 1월2.4.13 [42]


참조

[1] 뉴스 Caldera and Corsair – Who is Caldera, and what is Corsair, really? http://www.linuxjour[...] 1995-06
[2] 뉴스 Ransom Love, Co-founder of Caldera and SCO, Speaks of Unix, GPL and the Lawsuit https://www.eweek.co[...] 2003-09-25
[3] 뉴스 Down to the Wire - Hot Caldera rates a look as an Internet service, maybe even for desktops https://books.google[...] 1996-02-19
[4] 뉴스 Caldera Network Desktop 1.0 https://nnc3.com/mag[...] 1996-06
[5] 뉴스 LST Software GmbH Merges With Caldera Inc. – Critically acclaimed European Linux developers strengthen Caldera's commitment http://www.thefreeli[...] 1997-05-23
[6] 웹사이트 Historie http://www.lst.de/de[...] LST - Verein zur Förderung freier Software e.V. 2018
[7] 뉴스 Caldera OpenLinux https://www.linuxdoc[...] 1997-07
[8] 서적 Rebel Code: The Inside Story of Linux and the Open Source Revolution https://archive.org/[...] Perseus Publishing 2001
[9] 뉴스 Neue Version des Unix-Clones: Caldera will Open Linux zum kommerziellen Durchbruch verhelfen https://www.computer[...] 1997-03-21
[10] 웹사이트 Caldera https://archiveos.or[...] ArchiveOS 2023-08-25
[11] 뉴스 Mac, Windows And Now, Linux https://www.nytimes.[...] 1998-10-08
[12] 간행물 Caldera Creates Two {{sic|hide=y|Wholly|-}}Owned Subsidiaries http://www.prnewswir[...] PRNewswire 1998-09-02
[13] 웹사이트 Ransom Love Interview and Caldera Systems, Inc at Comdex Fall 2000 https://lwn.net/2000[...] LWN.net 2000-11-20
[14] 뉴스 NetWare for Linux: neat party trick https://books.google[...] 1998-08-17
[15] 뉴스 Wabi: Caldera's Solution for Windows Applications http://www.linuxjour[...]
[16] 뉴스 Caldera OpenLinux https://www.linux.co[...] Linux.com 1999-08-23
[17] 뉴스 Technology: Supporters of Linux Worry That Commercialization Could Bring Chaos https://www.nytimes.[...] 1999-10-18
[18] 뉴스 Red Hat, Caldera release new versions of Linux https://www.itprotod[...] ITPro Today 1999-04-25
[19] 뉴스 Caldera Systems IPO Soars in Debut http://plotkin.com/c[...] CNBC 2000-03-21
[20] 웹사이트 The Openlinux Lizard http://rant.gulbrand[...]
[21] 뉴스 Volution shows promise http://linux.sys-con[...] 2002-01-14
[22] 뉴스 1999 Editors' Choice Awards https://www.linuxjou[...] 1999-12
[23] 간행물 Caldera Systems Previews New Company – Caldera International – At CeBIT with Industry Support https://pressrelease[...] Caldera Systems, Inc. 2001-03-26
[24] 웹사이트 SCO Unixware 7.1.x, Open UNIX 8 Installing Linux Kernel Personality (LKP). https://www.scosales[...] The SCO Group 2008-01-15
[25] 뉴스 Choosing Linux https://books.google[...] 2001-11-13
[26] 뉴스 The Linux Killer https://www.wired.co[...] 2004-07
[27] 뉴스 Struggling Linux company swaps CEOs https://www.cnet.com[...] CNET 2002-06-27
[28] 뉴스 A Rose by Any Other Name – Is It Still the Same? https://www.linuxjou[...] 2002-08-27
[29] 간행물 Caldera, Conectiva, SuSE, Turbolinux Partner To Create UnitedLinux, And Produce A Uniform Version Of Linux For Business http://unitedlinux.c[...] UnitedLinux 2002-05-30
[30] 뉴스 Linux times 4 https://books.google[...] 2002-06-03
[31] 뉴스 The name game, Caldera style https://books.google[...] 2002-09-09
[32] 뉴스 Caldera to lay off 16 local employees https://www.newspape[...] 2002-05-10
[33] 뉴스 Caldera CEO steps aside to focus on UnitedLinux https://www.computer[...] 2002-06-27
[34] 뉴스 SCO name returns as Caldera rebrands itself https://www.computer[...] 2002-08-26
[35] 뉴스 Caldera Changes Name to the SCO Group, Plans SCO Linux 4.0 https://www.osnews.c[...] OSNews 2002-08-26
[36] 뉴스 SCO targets Linux customers https://www.cnet.com[...] CNET 2003-05-15
[37] 뉴스 UnitedLinux, RIP https://www.eweek.co[...] 2004-01-23
[38] 서적 IT Tools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Firewall Media 2005
[39] 뉴스 New Products https://www.linuxjou[...] 1997-09
[40] 웹사이트 CALDERA SYSTEMS INC. RELEASES OPENLINUX 1.3 WITH KDE AND SYBASE ASE http://www.prnewswir[...] 2017-09-21
[41] 뉴스 Change for Caldera OpenLinux Workstation 3.1 Will Require 'Per System' Licenses https://www.linuxtod[...] 2001-06-25
[42] 뉴스 Caldera Releases OpenLinux 3.1.1 https://www.osnews.c[...] OSNews 2002-01-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